
질병코드 K30 공식 질병 분류 명칭은 ‘(기능성) 소화불량’이에요.
‘소화불량’의 기본 내용(정의, 증상, 치료법)과 함께 가장 중요한 보험 청구 가능 여부 순서로 쉽게 알려드릴게요.
질병코드 K30 알아보기
(1) ‘(기능성)소화불량’ 이란?
- 특별한 원인 없이 속쓰림, 통증, 복부팽만감, 조기 포만감 등의 증상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경우
- 3가지로 분류 : (ㄱ) 식후불편증후군, (ㄴ) 상복부통증증후군, (ㄷ) 혼합형
(2) 증상은 무엇인가요?
- (ㄱ) 식후불편증후군
- 일주일에 약 3회 이상
- 식사 후에도 음식이 계속 남아있는 것 같고, 먹은 음식의 양에 비해 위가 가득 찬 느낌
- (ㄴ) 상복부통증증후군
- 일주일에 약 1회 이상
- 가슴뼈와 배꼽 사이에 통증 혹은 타는 듯하거나 화끈거리는 속쓰림
- (ㄷ) 혼합형
- 상복부 팽만감, 구역감, 매스꺼움, 트림 등 이외의 기타 증상이 모두 나타남
(3) 어떤 치료를 받나요?
- 진단
- 함께 나타나는 증상, 식습관, 음식 섭취 후 증상이 나타나는 시간, 지속 시간, 스트레스 등 다양한 요인을 살핌
- 위내시경, 초음파 검사, CT 검사 등을 통해 진단
- 치료
- 증상이 심할 때 약물 복용
- 공통적으로 생활 습관 개선 및 식이 요법에 중점
- 원인 및 증상이 다양한 만큼 치료법도 다양
질병코드 K30 ‘소화불량’ 의사에게 검사받은 비용 및 약제비
실비보험 청구 가능해요.
‘소화불량’ 보험 청구 가능 여부
[1] 질병코드 K30 진단, 치료 비용 실비 청구 가능
- 진단 : 위내시경, 초음파 검사, CT 검사
- 치료 : 약제비
- 단, 의사 진단에 따라 치료받았을 경우
- 필요 서류 : 수술확인서 또는 진단서(한국질병분류번호가 보이는), 진료비 영수증, 진료비 세부내역서, 약제비 영수증(약봉투)
*실비의 경우 가입 시기와 상품에 따라 보험금 보장 한도와 자기부담금이 다르기 때문에 확인이 필요해요! 만약 가입 시기와 특약 여부를 모른다면 아래 ‘파란 버튼’을 눌러 지금 바로 알아보세요.

[2] 내시경 전에 보험 점검받아 보세요!
의사의 진단에 의해 내시경 검사를 받다가, 추가적인 질병을 발견하는 경우가 있어요. 대표적으로 ‘위염’과 ‘용종 제거’인데요. 두 가지 경우에 대해서도 실비 청구 가능해요.
- 위내시경 통해 발견된 ‘위염’
- 위염을 발견하고 약물치료 처방을 받았다면, 자기부담금을 제외한 범위에서 약 값도 실비 청구 가능해요.
- 대장 내시경을 통해 발견된 ‘용종’
- 용종은 내시경 중에 발견되면 바로 제거하는 경우가 많아요. 용종 제거 비용도 실비 청구 가능해요.
- 또한 종수술비 특약이 있다면, 용종 제거 후 수술비 보험금도 받을 수 있으니 내 보험에 종수술비 특약이 포함되어 있는지 미리 확인해 보면 좋아요!
그런데 위염이나 용종 제거 등의 치료 이후에는, 새롭게 보험 가입할 때 질병 이력으로 인해 불이익이 생길 수도 있어요.따라서 내시경 전에 먼저 보험 점검받아 보는 걸 추천해요!
이외에도 소화기내과 보험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나요?
→ 지금 바로 아래 파란색 버튼을 눌러 전문가에게 궁금한 점을 모두 물어보고, 내 보험이 제대로 대비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!
✋🏻 잠깐만요!
👉 소화기내과 보험금 청구 더 궁금하다면, ‘아래 파란 버튼’을 눌러 시그널플래너 카톡 상담 서비스를 이용해 보세요!
👉 이 글은 시그널플래너 → 메뉴 탭 ‘전체’ → 보험금 청구사전 에서도 다시 볼 수 있어요😊
시그널파이낸셜랩 보험대리점의 개인 의견이며 이로 인한 이익 또는 손실은 보험계약자 등에게 귀속됩니다.
시그널파이낸셜랩 보험대리점(협회 등록번호 : 2020050020)
본 광고는 광고심의기준을 준수하였으며, 유효기간은 심의일로부터 1년입니다.
준법감시인필제2023-102호(2023. 12. 06 ~ 2024. 12. 05)